title2.png

🔎 주요 내용 및 특징

취약계층의 식량 접근성을 보장하고 농가 경영의 안정망을 구축하며, 지속 가능한 식량 생산 체제를 구축하는 한편 유전적 다양성을 유지합니다.

🗣️ 다가가기 l 왓츠고잉온?! 인터뷰

2. 양파아저씨.png

OO도 OO군에서 양파 농사를 짓고 있는 박경작이라고 합니다. 50년 가까이 농부로 살아왔는데, 요즘처럼 농사짓고 살기 어려웠던 적이 없어요. 농가를 유지 운영하는 데 들어가는 비용도 점점 부담되고요. 그동안 해 왔던 농사만으로는 더욱 살림이 빠듯해질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. 그런데 요즘 젊은 농업인들 중에는 재배해서 수확만 하는 게 아니라 직접 농산가공식품을 만들고, 그걸 판매하는 사람들도 있더라고요. 나도 도전해보고 싶은데,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니 젊은 친구들이 부럽기도 하고 고민도 됩니다.

사실 국가 차원에서 농가의 농외소득을 증대하겠다는 목표가 있습니다. K-SDGs에는 농업 연관 산업 육성과 농가 소득원의 다각화를 통해 2015년 기준 약 1,630만 원이던 농외소득을 2030년 약 1,850만 원으로 확대하려는 계획이 있거든요. 농가 소득원의 다각화, 이것이 요즘 나의 관심거리입니다.

📽️ 관련 이야기 더 알아보기